콘텐츠 편집
아트앤에셋 미술전문 특화 기술 및 프로그램

ART&ASSET Management

미술작품의 정량평가

특허인증 기술로 검증한
미술작품의 정량평가

집단지성을 활용한 미술작품의 정량가치평가 측정 서비스는 ㈜아트앤에셋의 특허를 기반으로 아트앤존을 통해 제공됩니다.

미술작품의 정량 가치 평가 Quantitative evaluation

본 서비스는 누구나 공감하고 신뢰 할 수 있는 근거를 기반으로 작품 창작에 영향을 주는 객관적 요소를 수식화 한 정량 가치 평가 환경을 제공합니다.

객관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보의 무결성을 검증하고, 검증된 작품의 안전거래 및 정보 확산을 도와줍니다.

향후 블록체인 기반 작품데이터 원장 정보 시스템 구축을 통해 안전자산으로서 미술작품 거래의 활성화를 돕고자 합니다 .

미술 작품 정량 가치 평가 시스템은 각 산업별/연령별 국가가 규정하는 최저임금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술인 창작노동임금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제안합니다.

제작기간

각 산업별/연령별 최저임금
근거기반 산출 수식 개발
7개 세부항

production period

재료비

평가 결과애 편차를 줄 수 있는
차별요소로서 산출 수식 개발
9개 세부항

material cost

전시경력

국내외 전시 규모와 권위 분석을
반영한 산출 수식개발 개발
7개 세부항

exhibition career

수상경력

국내외 수상 규모와 권위를 분석한
산출 수식 개발
4개 세부항

Awards

데뷔 경력

데뷔 이후 지속적인 활동 경력을
반영한 산출 수식 개발
5개 세부항

debut career

작품 분류

대중의 소비 선호도를 반영한
평가요소 산출 수식 개발
4개 세부항

Classification of works

순수예술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사회 시스템이 요구하는 방법으로
자신을 증명 할 수 있어야 한다.
정보는 객관적일수록 신뢰가 커진다.

_아트앤에셋 생각

신뢰, 미술인의 생존권

미술산업의 성장을 막는 가장 큰 요인으로 폐쇄성, 부정확성, 비객관성 등 신뢰에 대한 부분이 지속적인 문제로 지적되어왔습니다.

현 미술계는 정보 무결성 검증 협업의 한계와 신뢰 할 수 있는 객관적 정보의 부재, 정보를 증명하는 시스템의 부재, 폐쇄적 거래환경으로 인한 확산의 한계가 존재합니다.  

㈜아트앤에셋의 특허인증 기술은 정보의 객관성, 일치성,무결성,무변성을 증명 할 수 있는 독자적 연구 결과물로 2016년부터 2018년까지 미술계 집단지성과 정부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소벤처기업부의 연구지원을 통해 상용화 되었습니다.

미술 작품
정량 가치평가

미술주요기관과
협업/ 인증서 발행

미술 작품 평가
정보 원장관리

아트앤에셋
작품 빅데이터 관리

미술작품의 정성평가

미술계 전문가와 함께하는
미술작품의 정성평가

미술산업의 보편적인 작품 평가 방법은 안목(眼目)평가 방법입니다.
정성평가라고 불리기도 하는 이 평가 방법은 전문가의 육안(肉眼)과 지식, 개인의 경험과 역량을 투영시킨 주관적 평가 방법으로서 전문가의 전문성이 가장 중요하게 작용되는 평가 방법입니다.

아트앤존 양방향 소통 라이브 방송을 통해 정성적 작품 평가 분석에 의뢰 할 수 있습니다.  

미술 작품 정량 가치 평가 시스템 체계를 기반으로 정성평가를 제공합니다.
작가의 작품은 전문가와 대중 평가 방법 등을 통해서 대중적 가치를 평가 받습니다. 

집단지성을 활용한 미술 작품의 정량 가치 평가 시스템

[특허법]에 따라 특허등록원부에 등록한 발명기술 [특허번호 제 10-2114123] 집단지성을 활용한 미술작품의 정량 가치 평가 시스템, [특허번호 제 10-2114131] 미술작품의 정량평가 환경 기반 블록체인 원장정보 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를 아트앤에셋 또는 아트앤존을 통해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