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편집
WAYPOINT_하사안_키네틱
하사안 HA SA-AN, 《이정표 Waypoint》, 2025, 철, 환봉, 모터, 조화, 450×150×300cm철,환봉,모터, 조화_2025

이정표 : WAYPOINT

하사안 WAYPOINT는 ‘여행자의 식물’로 불리는 여인초를 모티브로 제작된 대형 키네틱 설치 작품이다. 작품의 크기는 450 × 150 × 300cm이며, 철, 환봉, 모터, 조화를 재료로 2025년에 완성되었다.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여인초들은 마치 무대 위 군무처럼 리듬을 이루며, 현대인의 방황과 감정의 진폭을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작가는 자연 속 여인초라는 모티브를 단순한 조형 요소가 아닌 감정의 매개물로 삼았다. 관람자는 작품을 마주하는 순간, 삶이라는 여정 위에서 잃어버린 방향과 다시 숨 고르기를 가능케 하는 ‘이정표’를 떠올리게 된다.

하사안 WAYPOINT는 단순히 시각적 설치물이 아니라 관객의 내면에 깊이 침투하는 정서적 장치다. 여인초가 바람을 따라 끊임없이 방향을 바꾸는 모습은 현대인의 삶에서 불안과 흔들림을 상징한다. 동시에 반복되는 군무 같은 움직임은 리듬을 통해 삶의 질서를 회복하려는 의지를 보여준다.

작품 속에서 여인초는 곧 길 위에서의 상징적 이정표가 된다. 이는 단순히 방향을 알려주는 물리적 표지가 아니라, 관람자의 내면에 남겨지는 기억 속 좌표이자 정서적 지점으로 기능한다. 관객은 작품을 바라보며 각자의 삶 속에서 길을 잃은 순간들을 떠올리고, 다시금 나아갈 수 있는 길을 모색하게 된다.

오늘날 우리는 빠른 변화와 복잡한 사회 속에서 끊임없이 방황한다. 하사안 WAYPOINT는 이러한 현실 속에서 “삶의 방향을 어떻게 찾을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여인초의 유연한 움직임은 불안정함을 드러내는 동시에, 끊임없이 길을 찾으려는 인간 존재의 본능을 보여준다. 작품은 삶의 방황 자체가 의미 있는 과정임을 제안하며, 그 과정 속에서 발견되는 잠시의 멈춤 또한 소중하다는 메시지를 전한다.

 

키네틱 아트의 맥락 속에서

하사안 WAYPOINT는 키네틱 아트의 중요한 특성을 잘 보여준다. 기계적 움직임과 자연 모티브의 결합은 단순한 시각적 재현을 넘어선다. 실제로 움직이는 조형물은 관객의 감각을 자극하며, 작품과 관객 사이에 실시간의 관계를 형성한다. 이는 정적인 조형물이 제공할 수 없는 몰입적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키네틱 설치 작품으로서의 WAYPOINT는 자연과 기술, 감정과 기계, 개인과 사회 사이의 긴장과 조화를 동시에 드러낸다. 기계적 장치가 움직임을 주도하지만, 그 움직임은 여인초라는 자연 모티브를 통해 인간의 감정과 공명한다. 이 지점에서 작품은 기술을 인간화하고, 자연을 기계화하며, 두 영역을 동시에 탐구하는 장치가 된다.

 

관객 경험과 정서적 좌표

하사안은 WAYPOINT를 통해 관람자 각자에게 내면의 좌표를 떠올리게 한다. 작품 앞에서 멈춰 선 순간, 관람자는 단순히 시각적 감상을 넘어 자신만의 기억과 정서를 불러일으키게 된다. 이는 작품이 제안하는 가장 중요한 역할, 즉 개인의 삶 속에서 정서적 이정표가 되는 경험이다.

이러한 경험은 관객이 작품을 떠난 후에도 잔상처럼 남아, 삶의 어느 순간에 다시 떠오를 수 있다. 결국 하사안 WAYPOINT는 단일한 조형물이 아니라, 기억 속에서 지속적으로 작동하는 좌표이자 정서적 풍경으로 확장된다.

 

삶과 예술의 교차점

하사안 WAYPOINT는 여인초라는 식물을 통해 삶과 예술이 만나는 지점을 시각화한 작품이다. 작품은 현대인의 불안정한 삶의 방향을 군무 같은 리듬 속에서 드러내며, 그 속에서 다시금 방향을 찾을 수 있는 내면의 이정표를 제시한다. 이는 키네틱 아트가 단순히 움직이는 오브제를 넘어서, 관객에게 삶의 본질적 질문을 던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하사안의 WAYPOINT는 결국 현대인의 길 위에서 함께 숨 쉬는 하나의 좌표이며, 관객에게 “나는 지금 어디쯤에 서 있는가”라는 근본적인 물음을 남긴다.

WAYPOINT by Hasaan is a large-scale kinetic installation inspired by the “traveler’s plant,” also known as yeoincho. Measuring 450 × 150 × 300 cm and composed of steel, round bars, motors, and artificial foliage, the work was completed in 2025. The yeoincho move in divergent directions, producing a rhythm akin to a choreographed ensemble, visually articulating the oscillations of contemporary existence and the amplitudes of human emotion.

The artist employs the motif of yeoincho not as a mere natural form but as an affective mediator. Encountering the work, viewers are invited to recall lost directions along the journey of life and to imagine a waypoint where one might pause and regain orientation.

WAYPOINT thus functions not simply as a visual installation but as an emotional apparatus that penetrates the interior life of its spectators. The ceaseless reorientation of the yeoincho in response to air currents metaphorically signifies the instability and disquiet of modern life. Simultaneously, their collective, dance-like rhythm gestures toward a desire to recover order through cadence.

Within the work, the yeoincho serve as symbolic waypoints along the path of existence. They are not literal signposts but rather affective coordinates inscribed in memory. The audience, in engaging with the work, recalls their own moments of disorientation and begins to reimagine possible routes forward.

In today’s rapidly shifting and complex society, individuals are perpetually unsettled. Hasaan WAYPOINT confronts this condition by posing the question: How does one find direction in life? The supple motions of the yeoincho reveal instability yet also embody the instinctive drive to seek orientation. The work proposes that wandering itself is meaningful, and that within such detours lies the value of temporary pauses.

 

In the Context of Kinetic Art

Hasaan WAYPOINT exemplifies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kinetic art. By integrating mechanical movement with a natural motif, the work transcends mere visual representation. The moving sculptural forms stimulate the senses and establish a dynamic, real-tim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viewer. Such embodied interaction produces an immersive experience unattainable in static sculpture.

As a kinetic installation, WAYPOINT simultaneously reveals tension and harmony between nature and technology, affect and mechanism, the individual and the collective. While the mechanical apparatus initiates motion, the natural metaphor of the yeoincho ensures an emotional resonance with the viewer. In this interplay, the work humanizes technology while mechanizing nature, becoming a device through which both domains are interrogated.

 

Audience Experience and Affective Coordinates

Through WAYPOINT, Hasaan invites each viewer to summon their own interior coordinates. In the act of pausing before the work, spectators move beyond visual contemplation to awaken personal memories and emotions. This process becomes the essential function of the work: to serve as an affective waypoint within the individual’s life.

Such impressions persist even after leaving the installation, resurfacing unexpectedly in later moments of life. Thus, Hasaan WAYPOINT extends beyond its physical form, becoming a memory-infused coordinate and an affective landscape that continues to operate within the spectator’s consciousness.

 

The Intersection of Life and Art

Ultimately, Hasaan WAYPOINT visualizes the intersection of life and art through the motif of the yeoincho. The installation renders visible the precarious directions of contemporary existence through its choreographic rhythms, while offering the possibility of reorientation through an interior waypoint. It demonstrates how kinetic art, beyond its mechanical spectacle, can articulate profound existential questions for its audience.

In this sense, Hasaan’s WAYPOINT is not merely an object in space but a living coordinate on the path of modern life, compelling each viewer to confront the fundamental question: Where do I stand now?

Explore Other Artists